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
한때 자동차 소프트웨어 쪽에서도 "도커 써보면 어떨까?" 하는 고민 한때 자동차 소프트웨어 쪽에서도 "도커 써보면 어떨까?" 하는 고민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이퍼바이저는 성능 오버헤드 이슈가 있으니(특히 PC 상에서 VMware 등을 많이들 써보셨기때문에 더욱더... 그런데 VMware 는 Type2 하이퍼바이저 입니다. QNX, ETAS 등은 Type1 하이퍼바이저로 으로 거희 지연이 없다고 증명해내고 있는것 같네요), 도커처럼 가볍고 빠른 컨테이너 기반으로 고성능 차량용 SW를 개발해보자는 흐름이 있었죠. 근데 생각해보면, 도커는 애초에 'immutable infrastructure', 즉 “그냥 쓰고 버리는” 걸 전제로 만들어진 구조잖아요? 특히 리눅스 상에서요...문제는 자동차는 그게 잘 안 됩니다. OTA(Over-The-Air)로 업데이트하다가 문제..
글로벌 자동차 안전 및 인증기관 상세 비교 1. Euro NCAP (유럽)주요 기능:신차 충돌 안전성 평가ADAS(자동 긴급 제동 등) 성능 테스트능동형 안전 시스템 평가평가 항목:성인/어린이 보호 점수보행자 안전안전 보조 시스템 (5개 핵심 기술)가상현실 기반 충돌 테스트 도입특징:5성급 시스템으로 결과가 유럽 시장 판매에 직접적 영향OEM의 마케팅 전략에 반영되는 핵심 지표2023년부터 자율주행 시스템 평가 강화최근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2. RDW (네덜란드)주요 기능:EU 형식 승인기능 안전(ISO 26262) 적합성 평가자율주행 실증 승인OTA 업데이트 검증평가 항목:전기차 배터리 안전자율주행 시스템 검증사이버 보안(UN R155 규정)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안정성 평가특징:유럽 내 "신속한 인증"으로 유명테슬라,..
ADI Chip 기술 중심으로 본 BMS 무선 셀센싱 개요 1. 무선 셀센싱의 필요성기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배터리 셀 간 유선 연결을 통해 전압 및 온도를 측정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유선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안고 있습니다:복잡한 배선: 설계 및 조립 난이도 증가신뢰성 저하: 접촉 불량, 진동 등에 의한 고장 가능성유지보수 비용 증가: 배선 문제 시 수리 비용 상승시스템 무게 증가: 대형 배터리 팩일수록 배선 무게 부담 증가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셀센싱 기술이 등장하였으며, Analog Devices(ADI)를 비롯한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앞다퉈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2. ADI의 무선 BMS(wBMS) 기술(1) 주요 칩셋 및 플랫폼 구성ADBMS1818:최대 18개 셀의 전압 및 온도 정밀 측정정밀..
2023년 이후 중국 신생 OEM의 Adaptive AUTOSAR 도입 및 하이퍼바이저 활용 경향 [출처 :ChatGPT]1. 도입 현황NIO, Li Auto, Xpeng 등 신생 EV OEM의 약 40% 이상이 Adaptive AUTOSAR 도입을 검토하거나 파일럿 진행 중.대상 영역: IVI(인포테인먼트), ADAS, 도메인 컨트롤러(Domain Controller) 등 고성능 ECU 기반 영역.2. Selective Adoption 전략전체 Adaptive AUTOSAR 플랫폼을 도입하기보다는 일부 모듈(예: SOME/IP, Diagnostics, Execution Management 등)을 선별 적용.Classic + Adaptive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경우 다수.일부 OEM은 자체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AUTOSAR API 수준의 호환성만 확보.3. 하이퍼바이저 연계Adaptiv..
미국과 중국 AUTOSAR 도입이 부진한 이유와 한국 상황 [출처 : DeepSeek] 미국과 중국이 AUTOSAR를 상대적으로 덜 활용하는 이유를 기술/시장/정책 측면에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산업 생태계와 자율주행 기술 개발 전략의 차이에서 기인한 현상입니다.1. 기술적 요인(1) 실시간성 vs 유연성 갈등미국: 자율주행/커넥티드카 중심 → ROS 2 및 Adaptive AUTOSAR보다 자체 프레임워크 선호 (예: Tesla의 Linux 기반 자체 OS, Waymo의 C++ 기반 시스템)중국: 빠른 개발 사이클 필요 → Baidu Apollo 같은 오픈소스 플랫폼 활용(2) 전장 아키텍처 차이분산형 ECU (유럽) : 35 % 도메인 컨트롤러 (미국) : 50 % 중앙집중식 (중국 신생 OEM) : 65 %2. 시장 구조적 차이(1) 공급망 특성지역특징주요..
[테슬러 FSD v13 그리고 현대차의 위기] 아주 오래전,현대차 다큐멘타리를 통해 울산 생산 라인의 선배님들은 생산 일이 몰리고, 수출시 많아서 선적이 힘들어질때면 반려자 분들께서 손을 모아, 선적을 함께하고 공동체의 소속감과 진정한 동료는 얻던 시기가 있었다. 지금보다 뭐하나 좋지 못 한 상황에서,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애국심에 호소하며,고장등의 불편한을 인내해가며 지금의 현대차를 만들었다. 테슬러의 FSD 완성을 알리는 version 13 이 나온 이시점 더이상 테슬러와 이론머스크 흉내내기는 멈추고 우리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봐야 한다.기본적으로 AI는 인간데이터의 학습을 기반한다. 아직 한국에는 현대차를 사랑하시는 베스트 드라이버들이 많다. 평생을 현대차만 타시다 돌아가시는 분들도 많다. 초창기 포니 부터 지금의..
IT 엔지니어들이 차량 전장 SW 개발에 이질감을 느끼는 이유 IT 엔지니어들이 차량 전장 SW 개발에 이질감을 느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1. 제약이 많은 개발 환경실시간성(RTOS)과 안전성(Safety): 차량용 SW는 일반적인 IT 소프트웨어보다 실시간성과 안전성이 중요합니다. 반면, IT 분야에서는 클라우드나 서버 환경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AUTOSAR 및 MISRA-C 같은 표준 준수: IT 개발자들은 보통 최신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활용하지만, 자동차 SW는 오래된 C 기반이 많고, 정해진 코딩 규칙을 준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2. 개발 프로세스와 인증 부담ASPICE, ISO 26262(기능 안전), UNECE R155(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인증과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IT에서는 애자일(Agile), 데브옵스(De..
[오토사도입지속이유]법규 대응과 소프트웨어 사양화에 대한 어려움, 그리고 기술적 비용 절감 한국이 AUTOSAR 표준을 지속 도입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법규 대응과 소프트웨어 사양화에 대한 어려움, 그리고 기술적 비용 절감입니다1. 법규 대응이 늦은 이유와 AUTOSAR 도입 지속한국은 유럽(EU)이나 미국(NHTSA) 대비 자동차 소프트웨어 및 사이버 보안 관련 법규 정비가 상대적으로 늦었습니다.최근 UNECE R155(사이버 보안) 및 R156(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규제가 적용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OEM과 부품업체들이 AUTOSAR 같은 표준을 따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한국 기업들은 기존에 개별적으로 관리하던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을 표준화된 프로세스로 바꾸면서 법규 대응을 용이하게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2. 소프트웨어 사양화(표준화) 필요성한국 자동차 업계..
리더의 자질, 그리고 선한 영향력 #1.한사람이 세상을 구하기도 하고 망치기도 합니다. 국가나 우리의 삶의 터전인 회사도 마찬가지 인것 같습니다. 이런 이유는 사람은 누구나 영향력이 있고, 권력이 부여되는 자리에 올라가게 되면 자그마한 결정이 메아리 처럼 퍼져서 심지어 아이들께도 영향을 미치게 되니까요. 한 사람의 영향력은 생각보다 훨씬 더 크고 깊게 퍼져나갑니다. #2.특히 리더십을 가진 사람의 선택은 사회의 물줄기를 바꿀 수도, 미래 세대의 삶의 질을 결정할 만큼 중대한 파장을 일으킵니다. CEO가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경영을 선택하면 직원들의 삶과 지역 환경이 개선되고, 정치인이 교육 정책에 투자하면 수십 년 후 국가의 경쟁력이 달라집니다. 반대로 단기적 이익만 추구하면 그 대가는 고스란히 미래 세대에게 전가되죠. 그래서 리더..
SecOC(Secure Onboard Communication) 표준 현황 SecOC는 국제 표준기구(ISO/IEC)의 공식 인증을 받은 프로토콜은 아니지만, AUTOSAR 표준의 일부로 정의되어 있으며 UN R155 및 ISO 21434과 연계되어 자동차 산업에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SecOC의 표준화 현황1. AUTOSAR 표준 내 정의SecOC는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의 일부로 표준화되었습니다.AUTOSAR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사실상의 글로벌 표준주요 OEM 및 Tier 1 업체에서 광범위하게 채택AUTOSAR Classic Platform 4.3 이상 버전에서 공식 정의 2. 국제 규제/표준과의 연계성ISO 21434 (자동차 사이버보안)SecOC는..